언틸 유 폴은 방 하나를 깨면 3개의 보상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대미지 증가 공식:
무기의 기반스텟(가뎀/헬뎀)+%데미지(두개 이상이면 합산)+덧셈 대미지이다.
가뎀 25% 증가와 50% 증가 트레잇을 먹으면 75%로 적용되는 식.
*쓸 수 없는 보상은 뜨지 않는다.
무기 슬롯이 남아있지 않으면 특성이나 스킬크리스탈이 뜨지 않는 식.
콤보수 증가:
4~5콤을 갖추기까지는 최우선 확보대상. 높은 콤보 타수일수록 넣을 수 있는 시간이 짧아져, 7콤이 넘어가면 막타 넣기 힘들어지니 주의.
최대 HP와 현재 HP가 1 증가한다. 최대 HP로 교환할 수 있는 게 많으므로 다다익선. 넉넉한 피통은 완주에 도움이 되므로 우선순위가 높다.
트레잇이 뭐냐에 따라 가치가 변한다.
스킬을 렙업 시킨다. 양 무기 스킬을 다 올리는 데엔 6개가 필요하다. 20번의 획득 기회중 6개를 다 모으는 경우가 많지 않음을 주의.
이번 회차를 말아먹어도 에테르는 남는다. 유일하게 현재 회차를 끝내도 남는 물건. 다만 웬만한 금액의 에테르를 선택하는 것보단 끝까지 깨는 게 이익이 되기에, 나는 정말 먹을 보상이 마땅치 않거나, 액수가 상당히 크거나, 다음 판에 확실히 뒤질 것 같으면 먹는다.
HP 5칸 회복. 7, 14번째 방 돌파시 HP 전회복이 되기에 녹색과 보라색 구간은 그걸로 떼우고, 붉은 구간에서 먹는 걸 추천.
최대 HP-1을 하는 대신 움켜쥔 손의 무기 슬롯 +1.
최대 HP-1 하고 움켜 쥔 손의 무기의 가드 대미지가 +2가 오른다. 기반 스탯으로 오르기 때문에 게임 중에 스탯창을 열어보면 바로 수치 증가가 확인이 되며, % 증가의 적용을 받는다.
최대 HP-1, 헬스 대미지 +1. 획득한 손 쪽 무기만 적용. 위와 마찬가지로 기반 스탯으로 오르므로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대시충격량 +5. 대시가 주는 가드 대미지를 조금 늘려준다. 먹기 싫은 것들 뿐일 때나...
특성들:
기본적으로 무기 대미지 강화나 스킬 챠지 속도 증가는 그 특성을 장착한 쪽의 무기만 적용된다. 아주 강한 특성들은 그만큼 희귀하다.
아케인(신비):
스펠와드챰의 1/3을 손에 넣은 셈이다. 양손 무기의 스킬챠지 속도가 2배. 스킬을 2배 많이 쓰게 해주는 셈. 최강의 특성.그만큼 희귀하다. 양쪽 무기에 다 적용되므로 부무기에 줘도 무방하다.
일반적인 스킬챠지 트레잇은 한쪽 무기에만, 특정한 조건에, 충전량+50%~+100%인데, 아케인은 양쪽 무기에 언제나 +100%이기에 다른 스킬 챠지 속도증가 트레잇 8개는 모아야 아케인 정도의 효과가 난다.
치명적인 우아함(Lethal ellegance):
크리티컬 콤보를 넣을 때 타마다 헬스뎀이 누적으로 1씩 증가한다. 두번째 타에 +1, 세 번째 타에 +2 하는 식으로. 콤보수 확보에 따라 비약적으로 강해진다. 역시 초강력 특성.
주의할 점은 콤보수 확보가 안되면 별 볼 일 없다는 건데, 4콤만 확보되도 하트시커보단 좋다. 또한 헬스뎀을 이걸 장착한 무기로만 줘야한다는 제약도 있다.
호러나 강화 기사를 한번에 날려버릴 목적이면 자잘한 강화가 붙은 6콤보 정도로 충분하며, 그 이상은 강화 캡틴을 한방에 보내는 게 목적인 경우다.
교대로 때려야 데미지가 더 들어가게 되어있는 카타르도 헬뎀 높은 쪽에 레셀 엘레강스를 주는 쪽이 3콤보 이상에서 이익이다.
서레이티드(요철날로 갈림):
헬뎀에 +2. 매우 강력한 특성. 3콤보만 돼도 하트시커(막타뎀+5)보다 훨씬 강하다.
혼드(연마):
가뎀에 +4. 효과가 선명해서 역시 강력한 특성. 혼드가 달린 무기로 막아도 상대는 가뎀에 +4를 입는다.
공격시의 가드 데미지만 늘리는 스태거링과, 방어시 가드데미지에만 보너스를 주는 가디드 트레잇 2개를 합친 효과고, 고정 데미지 증가이기에 부무기에 줘도 좋다. 아니, 부무기는 방어에 자주 쓰지 않는가? 방어할 때도 적에게 가드뎀을 줄 생각을 하자면 부무기에 주는 게 낫다. 부무기류는 기본가뎀이 낮아 %배율 보너스의 효율이 낮은데 그것도 해결된다.
가뎀 25%를 증가시켜주는 트레잇(스태거링, 가디드)과 비교하면...
기반 가뎀 1~12까지는 25%트레잇보다 혼드가 더 좋다. (대부분의 무기)
기반 가뎀 13~16짜리 무기에게는 25%트레잇과 동일. (미스트커터, 아밍소드)
기반 가뎀 17~ 이상인 무기엔 25%트레잇이 더 좋다. (베스탈의 분노)
스탈와트(강건함):
최대 HP+2. 안정성 증가.
프렌지:
콤보 +2. 희귀하고 강력한 콤보수 증가. 7콤 넘어가면 막타넣기 힘들어지는 것 주의
웨이티드(가중):
공격시 크게 휘두르면 데미지가 25% 증가한다. 가뎀, 헬뎀 양쪽 다 적용되서 좋다. 무조건 빅스윙을 휘두르는 나같은 플레이어에겐 그냥 고정으로 데미지 25%증가다. 하트스플리터의 밥줄.
===이상이 1티어급 특성/2티어도 좋다.===
엔킨들:
막타시 소울번 발동. 시간이 좀 걸리지만 헬뎀+15라 상당히 좋다.
헬뎀 15란 건 왠만한 무기로 2타 정도 더 때려야 나오는 데미지다. 즉 자동으로 들어가는 +2콤 효과.
다른 트레잇이 저걸 뛰어 넘으려면 서레이티드로 8콤보, 레셀엘레강스로 6콤보 이상 내야 한다. (둘다 +16뎀)
되도록 주무기에 주는 게 좋다. 솔번 걸자고 막타를 부무기로 치면 그만큼 손해니.
주의할 점은, 나이트메어 난이도처럼 다대일 상황에서 콤보상태에 들어가면 다른 적이 공격을 해서 콤보를 끊기에 막타를 때려야 발동하는 엔킨들을 재미보기 어려워진다. 콤보수가 높아질수록 더 끊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방해받지 않더라도 7콤이 넘어가면 촉박한 시간제한으로 막타 실패의 가능성이 올라간다. 이는 엔킨들만이 아니라 하트시커, 크로노록드같은 막타 보너스에 고루 해당된다.
스파크라이트:
타격시 일정 확률로 소울번 발동. 확률성인 게 문제.
부무기에 다는 게 좋다.
플레임 스타브드:
소울번 걸린 적을 상대로 모든 데미지 50% 증가. 단독으로는 쓸모가 없지만 소울번만 확보 된다면 강력한 특성. 스킬 3렙 소울번이 14초 가지만, 다른 소울번은 7초 밖에 가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한다. 즉, 대부분의 소울번은 걸리자마자 7초내로 이득을 봐야한다.
엔킨들과의 조합은 효율이 조금 떨어진다. 엔킨들로 막타를 넣으면 소울번이 발동하는데, 막타를 맞은 적은 밀려나며 무적시간이 생겨서 소울번 지속시간 7초에서 몇 초 손해보고(특히 체력 떨어지면 분노하며 무적판정 되는 적들), 가드가 다시 차서 헬스뎀딜은 못주기 때문에.
스태거링:
공격시 가뎀 25% 증가.
얼터네이팅 스트라이크:
무기를 교대로 때리면 이 특성이 달린 무기의 가드데미지를 50% 증가시킨다.
양손 무기를 교대로 때린다는 전제하에 가뎀 50% 증가이므로 효과는 꽤 쎈편.
어차피 가드데미지는 오른손도 왼손도 마구 때려서 주는 것이기에.
조금만 신경쓰면 얼터네이팅 발동시키기는 쉽기에 숙련될수록 스태거링의 상위호환으로 봐도 된다.
단, 아예 공격이 안되다시피하는 버퍼형 무기를 쓰고 있다면 발동시키기 어려워진다.
크로노 락드:
막타시 스태시스 필드가 걸린다.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막타 CC가 주는 짧은 틈이 가치가 커지고, 다른 강화와 조합이 되면 적을 굴릴 수 있다.
====슬슬 가치가 의심되는 특성들=
하트시커:
이 무기로 막타 때리면 헬뎀+10. 정 먹을 보상이 없으면 먹는 정도.
가디드:
이 무기로 방어하면 방어로 줄 수 있는 가드데미지가 25%증가.
한번 콤보에 적을 훅 보낼 수 있는 빈도수가 높은 초반보다는 일방적인 공격을 계속 막아내야하는 상황이 잦은 후반에 더 효과적이다. 방어의 빈도수가 높다면 사용을 고려해볼만하다.
문제는 가뎀을 주기에도 방어보다는 공격을 퍼붓는 게 더 유리하고, 또한 막는데 유리한 무기들은 가드데미지가 높지 않아 %배율 보너스의 효과가 낮다는 것이다. 막기 수월하면서 가장 가드데미지가 높은 무기는 아밍소드이나, 아밍소드는 이 트레잇을 기본탑재하고 있다. 없는 것보다야 나으니 방어용 무기의 슬롯이 남아 돌 것 같으면 달아주기도 한다.
님블(민첩):
대쉬 회복 속도가 30% 증가한다.
보스전에서 대쉬로 회피해야하는 구간에 안정성을 높여주긴 하므로 없는 것보단 낫다.
블러드 써스티:
헬뎀시 스킬챠지 2배.
키네틱 쉬폰:
적에게 가드데미지를 줄 때 스킬챠지 2배.
설명만 봐서는 막을 때든 때릴 때든 적용되된다. 스킬 챠지류 트레잇들은 1슬롯의 가치가 없어 보인다고 꺼리는지만, 그중에서는 그나마 나아보이는 트레잇. 아케인을 제외한 모든 챠지속도 증가 트레잇은 모두 트레잇을 장착한 한쪽무기만 적용된다.
헝거링:
적을 죽일 때 스킬챠지 2배
레조넌트:
공격을 방어할 때 스킬챠지 +50%
프리스틴:
만피시 데미지 +25%
테네셔스(집요함):
HP 0~1일 때 데미지 +25%
프리스틴보다 나은게, 1피일 때 한대 맞아도 특성이 유지되고, 0피일 땐 그 방을 깨면 1피로 회복이 된다.
만피를 1로 맞추면 HP1에서 프리스틴, 언터쳐블(듀엘리스트 엣지의 전용특성)을 다 적용을 수 있어 +100%데미지를 만들 수 있다.
보이드 스케어드:
스태시스 걸린 적을 이 무기로 때리면 헬뎀 5를 추가한다.
보이드 터치:
스태시스 걸린 적을 이 무기로 때리면 가드데미지 2배.
언옐딩:
회피해야 하는 공격도 평범하게 막을 수 있게 해준다.
회피해야하는 공격에서 체력을 많이 잃는 유저라면 안정성을 위해 얻어둘만 하다.
회피 공격이 플레이어의 대응을 흐트러트리는 면이 있는 대신에 뜸성뜸성 날아오기에 그냥 막을 수 있게 되면 한결 대응이 쉬워진다.
=======노골적으로 슬롯을 좀먹는 용도의 특성==========
균형잡힘:
크리티컬 콤보 시간이 20% 지속된다. 초보자에겐 한발 헛쳐도 한번 더 칠 정도의 여유는 주지만, 숙련될 수록 걍 슬롯 좀먹는 특성이다. 시간의 빠듯함이 크게 느껴지기 시작하는 7콤 이상일 경우엔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플릿:
적을 죽이면 대쉬가 3개 회복된다. 잡몹이 많은 초반엔 발동 기회가 많아 편하긴 할텐데, 적 한마리의 맷집이 점점 쎄지는 후반이 될 수록 슬롯값을 못하게 된다.
저거노트:
대쉬 충격량을 50%늘리는 대신 대쉬 회복속도를 -25% 줄인다.
대쉬는 가드뎀을 주는 용도보다는 회피에 더 절실하다. 물론 공격용으로도 쓸 수는 있고, 그런 사람에겐 쓸만할 수는 있지만 슬롯을 차지할 가치는 없어보인다.
차라리 패치 전마냥 충격량 +100% 충전속도 -50%면 단기 결전용으로라도 써보겠는데..
'Until You F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til you fall 운용 (0) | 2020.08.10 |
---|---|
Until you fall 적 (0) | 2020.08.10 |
Until you Fall 구체적인 무기 평가 (0) | 2020.08.03 |
Until you fall 추천 무기 조합 (0) | 2020.08.03 |
Until you Fall 무기 스펙 정리 (0) | 2020.08.01 |